010-6406-6548    
Community
커뮤니티
Q&A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GMC는 더욱 좋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만족을 실현하겠습니다.
   > 커뮤니티 > Q&A
“실업난 속 상대적 박탈감” ‘SNS 돈자랑’ 속속 퇴출…관리 나선 중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qfvfeica 작성일25-07-07 09:54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중국의 소셜미디어(SNS)에서 부()를 과시하는 인플루언서(SNS 유명인)들의 계정이 영구 정지 처분을 받았다.

중국 당국이 처분 배경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경기침체 속 상대적 박탈감을 조장하는 행위에 대해 단속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팔로워 500만명을 보유한 구첸첸 등 ‘돈 자랑’ 인플루언서들의 더우인(중국판 틱톡) 계정이 12일부로 영구 정지됐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조치는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종료된 뒤 나왔다고 RFA는 짚었다.

계정이 정지된 인플루언서들은 하루아침에 몇백만 위안(수억원)을 벌었다고 주장하거나 가만히 있어도 돈이 들어온다고 말하는 영상들을 주로 찍어 올렸다. 구첸첸도 지난 2월 “오늘 하루종일 누워 있었는데 30만 위안(약 6000만원)을 벌었다”라고 말해 구설에 올랐다.


이번 조치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은 대체로 정지 처분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다.

실업자가 넘쳐나는 시대에 상대적 박탈감을 불러오고 대중의 반감을 사는 콘텐츠는 단속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5월에도 팔로워 430만명을 보유한 인플루언서 왕훙취안신의 계정이 삭제된 바 있다. 그가 “최소 1000만 위안(약 2억원)어치의 장신구로 치장하지 않으면 외출하지 않는다”, “베이징에 호화 아파트 7채를 비워둔 상태”라며 부를 과시한 것이 문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RFA는 중국 경제가 호황일 때는 트래픽 기반 광고 수익 활동까지 묵인되다가, 경기 침체에 따라 단속이 강화됐다고 지적했다.

사치 및 부유함 과시 행위에 대한 중국 당국의 단속은 인플루언서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10일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중국증권업협회(SAC)는 직원의 과도한 사치를 해당 증권사의 불이익으로까지 연결시킨다는 업계 지침 개정안을 공개했다.

‘증권사 문화건설실천 평가지표’라는 이름의 이 지침은 바람직한 업계 문화 조성을 위해 증권사들을 평가하는 지표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번 개정안에는 “(직원의) 사치, 부유함 과시 등 평판 리스크 사건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거나 부당한 급여 인센티브를 주는” 증권사에 더 엄격한 감점을 적용하겠다는 내용이 들어갔다.




“조희대 사퇴” 대법원 진입 시도 ‘대진연’ 회원 4명, 구속영장 기각
‘4조 상속’ 男아이돌, 생리대로 30분 만에 ‘41억’ 벌어…이유 있었다
더러운 양쯔강에 ‘생수’ 콸콸…논란된 장면, 이런 이유 있었다 [포착]
관리비 7억 들고 튄 아파트 경리, 베테랑 형사들이 쫓는 중
“마지막 말도 ‘사랑한다’”…산불 순직 헬기 조종사, 눈물 속 발인
쓰러진 母 살린 ‘초3 영웅’…“심폐소생술 ‘이때부터’ 배웠어요” 깜짝
日 고교 교과서 검정 발표…또 ‘독도는 일본땅’ 억지 주장
“내 팔로워 2명 줄었잖아”…SNS 못하게 했다고 남편 고소한 여성
“아무리 유행이라도”…스리랑카 기차 매달려 사진 찍은 中관광객 중태
“이런 드레스 금지 아닌가요” 中 인플루언서, 칸 레드카펫 밟았다 네티즌 ‘부글’






m3
상호명 GMC  |  대표자 유기택  |  사업자등록번호 305-20-84413  |  TEL 010-6406-6548  |  FAX 0505-115-6548
ADD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1길 16  |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sⓒ2019 GMC All rights reserved.